역류성 식도염에 고구마, 정말 먹어도 될까?

고구마는 섬유질이 풍부해 소화를 돕지만,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게는 상황에 따라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 위산 역류를 유발할 수 있는 탄수화물 함량과 섭취 형태에 따라 증상 악화를 경험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입니다. 역류성 식도염일 때 고구마는 피해야 할까요, 아니면 도움이 될까요?

역류성 식도염에 고구마, 정말 먹어도 될까?
역류성 식도염에 고구마, 정말 먹어도 될까?

 

  • 고구마는 위에 자극이 적은 편이나 섭취량이 중요
  • 역류성 식도염엔 적은 양을 천천히 섭취하는 것이 핵심
  • 껍질, 당분, 조리 방식에 따라 위에 부담 줄 수 있음

1. 고구마는 식도염에 좋은 음식일까?

1) 알칼리성 식품으로 위산 중화에 도움

고구마는 pH 기준에서 알칼리성 식품으로 위산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입니다. 위 점막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위산 과다 시 중화 작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2)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 건강에 유익

고구마에는 수용성·불용성 식이섬유가 모두 풍부해 장내 연동운동을 도와 소화와 배변 개선에 효과가 있지만, 과도한 섬유질 섭취는 오히려 속을 더부룩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
3) 당분과 탄수화물은 소화에 부담

특히 찐고구마 기준으로 100g당 탄수화물 약 27g, 당류 5g 이상이 함유되어 있어 과다 섭취 시 위산 분비 자극과 복부 팽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2.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주의할 고구마 섭취법

1) 양은 소량, 한 끼 1/3개 이내로

위에 오래 머무는 음식은 역류를 유발하기 때문에 고구마는 한 번에 소량씩 나눠 먹는 것이 기본입니다. 식후 바로 눕는 습관도 피해야 합니다.

2) 껍질은 반드시 제거

껍질에는 불용성 섬유질이 많아 위 점막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역류성 식도염 환자는 껍질을 벗기고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3) 찜이나 삶기 방식이 가장 적절

고구마튀김, 말랭이, 군고구마처럼 당도가 올라가거나 기름이 많은 조리 방식은 위산 역류를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섭취 방식 위 부담 추천 여부
찐 고구마 낮음 적은 양 추천
군고구마 중간~높음 (당도 상승) 주의
튀김 고구마 높음 (기름 + 자극) 비추천
고구마 껍질 포함 높음 (불용성 섬유) 피해야 함
함께 보면 좋은 글
마이밀 한 달 대체식 체중변화 3가지 비밀
위로 스크롤